"
핵심은
선 종류와
속도차이
"
일반적으로 인터넷이라 상품은
광랜과 기가랜이 대부분인데
이전 포스팅에서
광랜이 광케이블이 아님을
알려드렸었죠?
(http://erginfo.tistory.com/44)
오늘은 FTTH와 HFC의
차이점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FTTH
Fiber To The Home
광섬유가 집까지
광케이블이 직접 집안
실내까지 들어오는 구조이구요.
HFC
Hybrid Fiber Coax
광섬유와 동축의 혼합
광케이블로 동네까지 와서
동네에서는 집까지는
동축(구리선)으로 들어오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통신사들은
왜!!
HFC(동축케이블) 방식을
사용했을까요?
그것은 아무래도...
금액적인 차이죠
초기 인터넷 보급망의 속도는
10~100Mbps
동축케이블로도 충분히
전송이 가능한 속도였고,
당시에는 1인 미디어(아XX카tv, 카X오tv)나
개인서버의 존재가 거의 없었기에
업로드 속도가 그리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1000Mbps(1Gbps)의 시대가 도래했고
인터넷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1인 미디어와 개인서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HFC로는 1000Mbps가 불가능 한가?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가능은 합니다.
하.지.만!
광케이블의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굳이 기술투자를 더해서
구리선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겁니다.
HFC그대로 쓰면 안되나요?
네. 불가능합니다.
우선 HFC와 FTTH의
가장 큰 차이점인
구리선과 광케이블의 차이를
이해해야 합니다.
HFC는 전기로 신호를 전달
FTTH는 빛으로 신호를 전달
하는 구조입니다.
전기는 외부전자파에 의해
(전자쟁이들은 이를 노이즈-noise라고 부릅니다.)
변형, 왜곡현상이 발생하며
속도가 빠를수로 노이즈에 민감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노이즈로부터 전선을 보호해야 하는데
그러면 비용이 증가
광케이블보다 비싸지게 됩니다.
빛을 이용한 광케이블은?
빛의 직진성으로 인해
(빛은 언제나 앞으로 간다라는 빛의 성질입니다.)
외부에서 빛이 들어와도
서로 각자 갈 길을 갈 뿐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위 원리로 인해
HFC는 다운로드 속도는 빠르나
업로드 속도는 느리며
(혹은 반대)
이를 비대칭형 인터넷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FTTH는 다운로드속도, 업로드 속도
모두 비슷한 속도로 나오기에
대칭형 인터넷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컴퓨터 >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랜이면 광케이블 아닌가요? (0) | 2017.01.24 |
---|